본문 바로가기

기획10

사이사이 뉴스레터 9: 사이드 플젝에서 인수인계서 작성하는 법 오늘은 2년 동안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운영진 1기, 2기, 3기를 떠나보낸 방법들에 대한 이야기이다. 우선 몇 년 전만 해도 사이드 프로젝트가 흔한 것은 아니었다. 교내/교외 동아리에서 진행한 활동들은 인정받는 기관(대학교 혹은 단체)에서 수료증이 발급되지만, 학생들이 직접 만든 사이드 프로젝트는 기관 인정 수료증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팀원이었던 A가 취업 성공 이슈로 팀을 나가면서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 덕분에 면접에서 잘 이야기했지만, 증명 서류가 없는 것이 아쉽다.'고 이야기했다. 주변에서 취업한 케이스가 소수이다 보니, 활동 증명 서류가 취준생에게 얼마나 힘이 되는지 늦게 인지한 것이다. 내가 생각하기에도 뉴스레터는 기록되지만, 내가 이 뉴스레터의 제작자였다는 것을 증명하는 방법은 격주 .. 2025. 5. 5.
사이사이 뉴스레터 8: 사이드 프로젝트 1주년을 기념하는 우리만의 방식 비전을 실천하는 작은 발걸음! 이라면서 시작한 사이드 프로젝트가 1주년을 맞이했다. 어떤 일이든 3개월은 죽었다 생각하고 해 보자는 마인드라서 뉴스레터도 3개월만 해보자! 했는데 재밌어서 더 하자! 더 하자! 했더니 1년이 훌쩍 흘렀던 것으로 기억한다. 수익화를 꿈꾸고 만든 프로젝트가 아니었음에도 1년 동안 꾸준히 뉴스레터를 발행할 수 있었던 것은 팀원들의 힘이 크다. 덕분에 현생과 사이드 프로젝트를 병행하는 1년 동안 도서 광고도 진행하고, 은사님 덕분에 현대자동차 상용 Tech 팀장 대상으로 조직문화 뉴스레터도 발행하고, 도서 광고도 진행하는 등 많은 경험을 할 수 있었다. 팀원들과 회의 끝에 뉴스레터 1주년을 축하하는 레터를 발행하기로 계획하고, 각자 마음에 드는 레퍼런스를 가져와서 아이디어를 제.. 2025. 4. 30.
사이사이 뉴스레터 7: 사이드 프로젝트를 비대면으로 진행할 때, 의사소통 방식 사이사이 뉴스레터는 2022년 7~8월부터 기획되어, 같은 해 12월부터 약 2년 동안 정기적으로 발행된 프로젝트였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2023년 4월경에야 완전히 해제되었기 때문에, 프로젝트의 초기부터 전 과정을 비대면으로 기획·운영하였다. 초기 팀은 대학 동기와 선후배들로 구성되어 있어 온라인 의사소통이 큰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뉴스레터의 가능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외부 팀원들이 합류하면서, 팀의 규모가 커지고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시작했다. 구성원 간 업무 이해도가 낮아졌고, 이는 종종 *방관자 효과(bystander effect)와 **사회적 태만(social loafing)으로 이어졌다. *방관자 효과는 주위에 사람들이 많을수록 도움이 필요한.. 2025. 3. 27.
사이사이 뉴스레터 6: 홍보 채널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득은 아니다 약 1년만에 블로그 글을 적는다. 작년은 갑자기 바빠진 실험 진행과 후속 연구로 인해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보다 인생 살기 힘들다는 생각이 더 컸던 해였다. 올해는 사람에 치이는 것보다 글에 치이는 일이 많은 편이다.  오랜만에 적어보는 콘텐츠는 애정을 담고 만들었던 뉴스레터에 대한 회고이다. 비교적 최근에 작성한 내용은 '뉴스레터에서 돈 벌려고 구독자 200명을 날려버린 썰'이다. 궁금하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오늘은 뉴스레터 홍보를 위해 여러 채널을 생성했지만 3개월 만에 중단하게 된 과정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2024.01.24 - [프로젝트를 디깅하다] - 사이사이 뉴스레터 5: 돈벌다가 뉴스레터 구독자 200여명을 잃은 썰 사이사이 뉴스레터 5: 돈벌다가 뉴스레터 구독자 200여명을 잃.. 2025.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