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6 2개 이상의 집단을 비교하고 싶을 때 (ANOVA) 지난 글에서는 2개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t-test를 소개했다. 오늘은 t-test와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분산분석은 2개 이상의 집단 간 평균 차이를 검증할 때 사용되며, 현장에서는 주로 3개 이상 집단의 평균 차이를 분석할 때 사용하고 case by case지만 분산분석보다 ANOVA로 더 많이 불린다. ANOVA는 왜 사용할까? ANOVA는 3개 이상의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면 발생하는 통계적 오류 2가지가 있기 때문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소득 수준 상-중-하 3개의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통계적 오류를 만날 수 있다. 부모의 소득 수준(상-중-.. 2024. 4. 24. 서로 다른 두 집단의 평균 비교하기 (t-test) 남성과 여성, 10대와 20대처럼 서로 다른 두 집단을 비교할 때 어떤 통계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 오늘은 두 집단의 평균 차이 값을 분석하는 t-test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표본이 작은 크기일 때 유용한 t-test t-test의 t는 검정에 사용되는 확률 분포인 t-분포를 나타낸다. t-분포는 정규분포와 유사하지만 꼬리가 더 두껍기 때문에 표본 크기 n ≤ 30일 경우처럼 작은 표본 크기를 분석할 때 적합하다. t-test는 Student's t-test라고도 불리는데 영국의 통계학자 William Sealy Gosset가 필명 Student로 이 가설 검정법을 발표했기 때문이다.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할 때 모집단의 분산과 표준편차를 알고 있다면 z-score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보.. 2024. 4. 12. 가설 세우기 전에 '이것'을 알아야 한다! 내가 알고 싶은 집단(모집단)을 전체 조사(전수 조사)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다. 그러나 현실에서 전체 모집단을 조사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실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연구자는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여, 표본의 통계량(statistic)으로부터 모수(parameter)를 추론하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를 추론 통계(inferential statistics)라고 부른다.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표본에 대한 결과가 데이터(숫자)로 기술되어야 하므로, 기술 통계(description statistics)가 선행된다. 가설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하나는 영가설(H0, null hypothesis, 귀무가설)이고 다른 하나는 대립 가설(H1, alternative hypothesi.. 2024. 3. 30. 미래 사회의 커뮤니티는 어떤 곳이 될까?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현황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41.5%이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사회에서 사람들의 외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커뮤니티의 힘이라고 믿는다.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은 개인이 자신의 사회 정체성(social identity)을 깨닫고, 따뜻함과 인간미를 경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사회 정체성은 자신을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성격이나 외모 등 고유한 특성에 기초한 자아 개념인 개인 정체성(personal identity)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커뮤니티가 우리 사회의 외로움을 완화해야 하지만 역설적으로 일부 개인에게는 커뮤니티가 외로움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오늘은 사람들이 .. 2024. 3. 1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