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드프로젝트6

사이사이 뉴스레터 6: 홍보 채널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득은 아니다 약 1년만에 블로그 글을 적는다. 작년은 갑자기 바빠진 실험 진행과 후속 연구로 인해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보다 인생 살기 힘들다는 생각이 더 컸던 해였다. 올해는 사람에 치이는 것보다 글에 치이는 일이 많은 편이다.  오랜만에 적어보는 콘텐츠는 애정을 담고 만들었던 뉴스레터에 대한 회고이다. 비교적 최근에 작성한 내용은 '뉴스레터에서 돈 벌려고 구독자 200명을 날려버린 썰'이다. 궁금하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오늘은 뉴스레터 홍보를 위해 여러 채널을 생성했지만 3개월 만에 중단하게 된 과정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2024.01.24 - [프로젝트를 디깅하다] - 사이사이 뉴스레터 5: 돈벌다가 뉴스레터 구독자 200여명을 잃은 썰 사이사이 뉴스레터 5: 돈벌다가 뉴스레터 구독자 200여명을 잃.. 2025. 3. 23.
사이드 프로젝트하는 사람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 사이드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사람, 사이드 프로젝트에 관심 있는 사람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특히 사이드 프로젝트와 본업 사이의 경계에서 헤매고 있는 사람들이 읽는다면 그 경계가 조금은 명확해질 수 있으리라 생각되어 적극 추천하고 싶다. 2022년 뉴워커가 직장인 571명을 대상으로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에 대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응답자 중 53.1%가 사이드 프로젝트를 해봤다고 응답했다. 이처럼 직장인들 사이에서 커리어를 쌓기 위해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직장인들은 사이드 프로젝트를 한 이유에 대해 본업 외에 새로운 일거리를 탐색하기 위해(55.8%), 공부하고 싶은 분야가 있어서(11.9%) 등이라고 이야기했다. 이처럼 사이드 프로젝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SIDE, 렛.. 2024. 2. 18.
사이사이 뉴스레터 5: 돈벌다가 뉴스레터 구독자 200여명을 잃은 썰 뉴스레터의 수익 모델은 어떤 것일까? 뉴스레터의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사이사이 뉴스레터는 수익 모델이 없는 상황에서 시작한 프로젝트였다. 돈을 벌자고 시작한 프로젝트가 아닐뿐더러, 물질적 보상 없이도 뉴스레터 구독자 수 증가, 오픈율 등이 성취감을 충분히 제공해줬기 때문이다. 그러나 뉴스레터 운영 9개월차에 접어들 때, 한 출판사로부터 광고 제안이 들어오면서 뉴스레터의 수익 모델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이 시점은 뉴스레터 2기 팀원들이 합류한지 1개월도 안 된 때였고, 뉴스레터로 돈을 벌 생각이 없었던 상황이라 광고 제안을 받았을 때 뿌듯하면서도 제대로 된 절차 없이 진행되어 꽤 애먹은 기억이 있다. 정확한 문제 상황은 뉴스레터의 광고성 수신 정보 동의를 필수가 아닌 선택 사항으로 둔 점이었다. 보.. 2024. 2. 6.
사이사이 뉴스레터 3: 업무 로테이션 제도와 협업 툴 우리 뉴스레터 팀은 발행 준비가 마무리되고, 본격적인 운영을 앞두고 있었다. 이전에는 회의 때마다 업무를 나누고 자발적으로 일을 맡았지만, 정식으로 발행이 시작되면서 업무별 담당자를 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우리는 '이 업무가 뉴스레터 운영에 꼭 필요한가?'라는 질문을 던지면서 다음과 같이 역할을 분담했다. 1) Letter Director - 뉴스레터 발행자 2) Public Relations - 홍보 담당자 3) Project Manager - 일정 관리자 4) Communication Director - 독자 투고 관리자 5) Product Owner - 총괄 이후 각 업무에 따라 추가적으로 필요한 세부 업무를 정리하고, Product Owner였던 나를 제외한 팀원들은 자신이 원.. 2024.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