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선을 디깅하다8

미래 사회의 커뮤니티는 어떤 곳이 될까?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현황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은 41.5%이다. 1인 가구가 늘어나는 사회에서 사람들의 외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커뮤니티의 힘이라고 믿는다.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은 개인이 자신의 사회 정체성(social identity)을 깨닫고, 따뜻함과 인간미를 경험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사회 정체성은 자신을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성격이나 외모 등 고유한 특성에 기초한 자아 개념인 개인 정체성(personal identity)을 보완하는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커뮤니티가 우리 사회의 외로움을 완화해야 하지만 역설적으로 일부 개인에게는 커뮤니티가 외로움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오늘은 사람들이 .. 2024. 3. 18.
눈팅족이 게시물을 올리게 만드는 7가지 기술 지난 글에서 커뮤니티에 반드시 존재하는 lurker*와 lurking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lurker는 쉽게 말하면 커뮤니티에서 글 업로드를 하지 않고 눈팅만 하는 사람들인데, 그들이 하는 행동을 lurking이라고 부르며 이는 온라인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이다. 커뮤니티의 상황에 따라서 lurking을 권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오늘은 lurker를 poster로 만드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할 예정이다. *lurker: 온라인 커뮤니티에 존재하지만, 1번도 포스팅을 하지 않은 사람 "그들은 왜 글을 올리지 않을까?" lurker가 눈팅을 하는 이유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는데, lurker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운영진들은 그들이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보다 명확하게 알 필요가 있다. lurk.. 2024. 3. 1.
커뮤니티 운영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심리학 최근 들어, 새로운 대인관계가 등장하고 있다. 바로 '커뮤니티'를 통한 관계인데 과거에는 학연, 지연에 의한 관계가 주를 이뤘다면 코로나19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취향이나 관심사를 기반으로 한 관계가 생기고 있다. 엠브레인 트렌드 모니터에 따르면, 학연이나 지연 위주의 모임 대신 느슨한 인간관계에 대한 선호가 2019년 67.5%에서 2022년 71%로 증가했다. 이는 사람들이 깊은 사연이 있는 관계를 힘들어하고, 편안한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느슨한 인간관계란, 개인의 선택에 의해 맺어진 일시적이면서 익명의 사회적 관계를 이야기한다. 참고로 익명은 나의 이름, 신분을 강제로 밝히게 되는 사내 동호회와 달리 그러한 부담이 없다는 점에서의 익명 관계를 의미한다. 연구진.. 2024. 2. 24.
커뮤니티 회원 100명 중 90명이 눈팅하는 이유는 X이다. "커뮤니티 회원수가 100명이라면 그중에 90명은 눈팅한다."커뮤니티에는 90-9-1의 법칙(online participation with the 90-9-1 rule)이 있다. 커뮤니티 사용자 중 90%가 게시글을 읽거나 관찰만 하고, 기여는 하지 않는다. 그리고 9%의 사용자는 가끔 기여하고, 1%의 참여자가 많은 부분에 참여하고 대부분의 기여를 차지한다는 법칙이다. 이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도 나타나는 현상인데, 사용자끼리 도움을 주고받는 사이트에서 참여자의 4%가 50%의 답변을 제공했으며(Lakhani and Hippel, 2003), 위키피디아는 80%의 콘텐츠를 2.5%의 사용자가 기여하고 있다(Tapscott and Williams, 2006). 트위터의 경우에도 사용자의 10%가 90% .. 2024. 2. 12.